어제 20211222일에 저는 워크숍을 하나 진행했습니다. 해당 모임은 어떤 사기업에서 진행하고 있는 모임이고, 참가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참가했습니다.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서, 각자 자기가 하고 있는 것들에 대해 발표하고, 친목을 다지는 행사였고, 해당 멤버십 행사에서 모인 사람들과 좋은 식당에서 밥도 먹고, 이러저러 얘기도 했던 것이 기억납니다.

   이번에 해당 워크숍은 "개더타운"이라는 서비스에서 진행을 했습니다. 관리자가 맵(여기서는 해당 사기업의 회사 건물이었습니다)을 구성해 놓으면, 방향키로 이동해서 해당 맵을 탐험할 수 있고, 그 중에서 가까이 위치한 사람과는 화상 채팅이 열리는 방식의 시스템이었습니다. 흔히 "메타버스"라고도 불리는 가상 세계의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사실, 조금 놀라웠습니다. 오프라인에서 진행하고 있는 여러 행사들을 온라인으로 되게 잘 구현하려고 노력한 흔적들이 많이 보였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이 컨퍼런스를 진행하고 식사를 하면 실제 대화나 사람간의 상호작용은 매우 소규모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번 워크숍에는 약 16명 정도가 참여했는데, 16명이 모인다고 16명이 모두 서로 대화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워크3개의 팀으로 나누어서 진행했고, 제 팀에는 6명 정도가 있었는데, 이게 한 사람이 상호작용 할 수 있는 한계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내가 가만히 있는 게 아니라 어쨌든 키보드를 사용하고 이동함으로써, 내가 장소와도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알려주고, 이런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사람의 집중력을 잘 유지시켜준다고 생각했습니다. 가령이면 OX퀴즈를 할 때, OX버튼을 누르는 것이 아닌, 사람들이 실제로 우르르 몰려다니고,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생각보다 현실감 있게 다가왔습니다. 이런 사항들을 생각보다 잘 반영한 프로그램이 아닌가하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 얼굴을 맞대는 것과는 역시 달랐습니다. 몇몇은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여러 연결 문제로 진행에 딜레이가 생겼지만, 이것은 현실에서도 장비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으면 점검을 해야 하는 것은 어느 곳이나 다 마찬가지입니다. 제가 좀 더 느끼는 것은, 해당 모임에 대해 느끼는 피로감이었습니다. 사람은 대화를 할 때, 표정의 매우 미묘한 부분까지 관찰하는데, 반응의 약간의 딜레이에도 사람은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그래서 서로가 서로의 맥락을 공유하는 데에 좀 더 피로감을 느낀 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 화자에게 집중을 한다는 신호(백채널링)의 전달이 느리거나 줄어들기 때문에, 계속 화자와 청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서로가 집중하고 있는지 확인을 해야 하고, 그런 커뮤니케이션 자체보다 부수적인 부분에 대해서 커뮤니케이션에 추가적인 코스트가 든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먼 거리를 이동해야하는 수고가 줄어든 것은 사실입니다. 어느 부분은 장점, 어느 부분은 단점을 잘 골라서 택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대형 워크숍 같은 경우에는 장점과 단점을 어느 부분 저울질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보 전달이 좀 더 목적인 경우가 많고, 이동하기 힘든 사람들이 대부분인 경우가 많으니까요. 하지만, 사람들이 소규모로 친목을 하기 위해서 모이는 곳이라면 장점과 단점의 저울질이 힘들다고 생각하고, 물리적인 세계에서 만나는 것의 이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휴학을 하고 있을 때도 동아리에 어떤 신입들이 들어오는지에 관심이 많았고, 그리고 사실 지금도 관심이 많습니다. 하지만 전혀 확인을 하지 못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동아리방에 신입생이 없기 때문입니다. 학교 기숙사를 굳이 들어 올 필요가 없고, 방역 수칙 때문에 동아리방에서 모이기도 힘듭니다. 사실 온라인에서 회의가 있기도 하고, 마음만 먹으면 서로 얘기할 수 있는 기회는 많습니다. 하지만, 동아리방에서 있는 사람에게 그냥 얘기를 하는 것과 온라인에서 만날 약속을 따로 잡아 이야기 하는 것은 다른 이야기 입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기존 동아리원과 새 동아리원 사이의 결속력이 약해지고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혹은 온라인에서 아예 할 수 없는 행동들도 있습니다. 제가 생각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포옹, 저의 큰 취미중인 하나였던 위스키와 칵테일을 마시는 것과, 파인 다이닝을 찾아다니는 것은 온라인에서는 아예 할 수 없습니다. 저의 생활 반경을 수도권에서 대전으로 옮기면서 아쉬운 것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대전에서의 새로운 인간관계를 맺어야 하는데, 저는 학교 안에서는 신입생만큼 새로운 도전이 허용되는 나이도 아니고, 아직도 좋은 요리와 좋은 술을 찾으러 갈 때는 서울에 있는 식당과 바를 찾아갑니다. 이것은 한국의 수도권 중심주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냥 생활 반경을 옮기면서 겪어야 하는 필연적인 변화 중에 하나도 있습니다.

   어쨌든 우리는 물리적인 세상 안에서 살아갑니다. 디지털이 세상을 좀 더 가깝게 만들어 주었고, 물리적인 세상의 영향력을 줄인다고는 했지만, 사실 세상을 가깝게 만들어 주기보다는 세상을 넓게 만들고 새로운 연결을 만들어줬다고 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디지털이 세상을 가까이 만들어 준만큼, 물리적인 세상은 멀어졌다고 느낍니다. 사실 우리는 이런 디지털과 물리적인 세상을 적당히 선택하고 조율할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진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떤 것은 디지털로 해도 상관이 없거나 혹은 더 좋고, 어떤 것은 디지털이 해결해 줄 수 없는지.

 

  사실, 저는 물리적인 세상에 큰 원망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하지만 어쩌겠나요? 주어진 것은 주어진 것이고, 계속 시도해 보는 것만이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개척할 수 있는 것은 개척해 보려고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도 서울을 갈 준비를 해야겠습니다. 이제 씻고, 옷도 잘 챙겨 입고 화장도 하고 나가야죠.

'생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CPC의 본선 진출 자격 변경에 대해  (0) 2022.05.12
내 부끄러운 이야기  (0) 2022.04.12
지식의 반감기, 진로와 달리기  (0) 2021.11.11
멘헤라 빙고 번역 후기  (0) 2021.06.17
About my private life  (0) 2021.04.10

피검사를 4달 정도만에 진행했습니다. 에스트라디올-데포를 맞고 1주일 후에 피검사를 진행했고, 프롤락틴 수치가 28ng/mL, 에스트라디올 수치가 342pg/mL,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0.28ng/mL이 나왔습니다. 안티안드로겐을 사용하지 않았는데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매우 낮은게 이례적이라고 합니다. 저는 샘플이 바뀌지 않았나 의심할 정도였습니다.

 

피검사를 진행한 이유는 에스트라디올 변화에서 나타나는 감정변화입니다. 에스트라디올 농도가 낮아지는 피크에서 감정변화가 생기고(여러 기작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에스트라디올 데포를 맞는 주기를 줄여보자는 생각에서 피검사를 요청을 했습니다. 에스트라디올 데포는 그대로 비슷한 주기로 맞되, 프로기노바 경구투여를 하는 방법을 바꿀 생각입니다.

 

 

'생각들 > G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에게 퀴어란  (0) 2021.12.26
2021-08-17  (0) 2021.08.18
#2  (0) 2021.08.11
2021-08-11  (0) 2021.08.11
2021-07-19  (0) 2021.07.20

프로그래밍을 하고 싶지 않다. 이유는 여럿 있는데, 가장 큰 것은 매번 바뀌는 기술적인 사항을 찾아가는게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6개월정도 지난 repo에 npm i를 타이핑하고 본 2000여개의 보안 취약점을 보고, 지친다는 것을 가장 크게 느낀 것 같다.

 

학문적인 지식에는 반감기가 있다는 주장이 있다. 학문에서 활발하게 사용되는 지식 중 절반이, 새로운 발견으로 대체되거나 틀린것으로 밝혀지는 시간이다. 물론 엄밀하게 정의되어 있지는 않는 개념이지만, 프로그래밍은 2.5년에서 7년정도라고 한다. [1] 필드에서 어떤지에 대해서는 찾은 글이 없다. 프로그래밍과 컴퓨터공학을 하다보면, 어딘가로 계속 달려야 한다. 과거에 내가 배웠던 것은 현재에 와서는 낡거나 틀린 지식이 된다. 그래서 나는 이론전산학을 하는게 좋다고 생각했다. 왜 이론전산학을 하는게 좋다고 생각하냐면, 적어도 반감기가 2.5년까지 짧지는 않을 것이니까. 그리고, 나는 프로그래밍을 잘 하니까. 이 생각은 점점 바뀌어서 이산수학을 하고 싶다는 생각까지 바뀌었다. 물론, Tutte Graph 보다는 node.js가 내가 살아가고 있는 세상을 더 많이 바꿔놓을 수 있겠지만, 어쨌든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해야하니까. 사실 수학의 반감기도 그렇게 길지는 않은 것 같다. 9.17년 정도라고 한다. [2] 물론, 내가 "올바르다"고 받아들였던 사실이 "틀린" 사실이 되지는 않겠지만.

 

내가 지금 공부하고 싶은 공부는 언어학이나 심리학이다. 나는 그렇게 학점이 좋지 않기 때문에 의전원에 갈 수 없다. 내가 현실적으로 언어학을 지금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은, 자연어 처리 관련 전산 대학원에 들어가는 것이고, 심리학을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은 지금 학교에서 바이오 및 뇌 공학과 복수전공을 해서 심리학과 관련된 대학원을 들어가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런 선택을 할 것 같지는 않다. 나는 수학과 프로그래밍을 꽤 잘 하기 때문에, 내 장점을 충분히 이용하는게 맞는 전략이기 때문이다. 만약에 내가 수학과 프로그래밍을 그렇게까지 잘 하지 않았다면, 집에 좀 더 빌붙어서 내가 맞는 전공을 찾아가겠다고 말했을까? 잘 모르겠다. 사실은 심리학의 반감기도 그렇게 길지는 않다. 3.3년에서 19년정도라고 한다. [2] 내가 심리학과 관련된 공부를 해도 위의 문제들을 만날 것이다. 심지어 이 분야는 진짜 과거에 많은 사실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거짓으로 밝혀지는 곳이다. 생각 해 보면, 세상은 빨리 바뀌기 때문에,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위치에 있는 학문을 필연적으로 반감기가 짧을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내가 원하는 두 가지를 모두 달성하는 일은, 마치 유니콘을 쫓는 것과 같지 않을까?

 

사실 난 이런 고민들을, 더 이상 이 분야에서 달릴 자신이 없다는 선언이고, 박수 받을 때 떠나고 싶을 뿐이며, 그냥 내 자리를 유지할 수 없을 것 같기 때문에 도망가는 도피라고 생각한다. 사실 지금도 도망치는 것 보다는 갓길을 선택하는거에 가깝지만.

 

나는 지금도 계속 달리고 있고, 다른 길도 이러저러 확인하고 있다. 다른 사람은 조금 쉬어도 좋다고 하지만, 어릴 때부터 계속 움직이도록 훈련 받은 나는 달리는 것이 나의 삶이기 때문에 달리지 않는 나의 삶이 예상되지 않아서 불안하다. 나의 삶은 컨베이어 벨트여서, 달리지 않는 것은 곧 뒤쳐진다는 의미였으니까. 그리고, 뒤쳐지면 영원히 따라잡을 수 없을 것 같고, 미래의 내가 언젠가 해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하니까. 나는 갓길이 되었든, 험난한 길이 되었든 어딘가로 계속 달려야겠다. 이렇게 고민해도 선택은 갈림길에 선 내가 하지 않을까? 어떤 선택을 해도 달리면 된 것이다.

 

출처

[1] https://spectrum.ieee.org/an-engineering-career-only-a-young-persons-game

[2] https://www.universetoday.com/97806/book-review-the-half-life-of-facts-why-everything-we-know-has-an-expiration-date/

[3] https://psycnet.apa.org/record/2012-16074-001

 

 

 

 

 

 

 

 

??

사실은 더 이상 달리고 싶지 않은데, 달리지 않아도 괜찮다고 느낄만한 심리적으로 안정된 기반이 존재하지 않는다. 나는 달리지 않는 나에게 나는 가치를 찾을 수 없어서 오늘도 달리고, 이는 다시 나에게 과부하로 다가와서 나를 해친다. 이런 연결고리가 삶이라면 더 이상 지속하고 싶지 않다. 그래서 연결고리를 끊을 수단을 찾고 있지만, 찾지 못한 것 같다. 그냥 통째로 내던지고 싶다.

 

'생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부끄러운 이야기  (0) 2022.04.12
물리적인 세상 [Draft]  (0) 2021.12.23
멘헤라 빙고 번역 후기  (0) 2021.06.17
About my private life  (0) 2021.04.10
solved.ac에 관한 주저리주저리  (0) 2020.11.27

+ Recent posts